한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방사능(Radioactivity)방사선(Radioactive ray)인데
방사선은 방사성 물질이 내는 유해한 전자기파의 일종이고 방사능(radioactivity)는 방사선의 세기를 일컫는 말입니다. 이 두가지가 혼돈되어 섞여 쓰이고 있는것 같습니다.


방사능의 인체에 미치는 해로움을 표시해줄 수 있는 지표단위는?
여러가지 방사선의 세기(=방사능)를 측정하는 단위가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시간(s)당 방사성 물질 붕괴 횟수인 Bq(베크렐) 또는 Ci(큐리)이지만 이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는 실질적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방사선과 관련된 여러가지 측정 단위>

기준

단위/실용단위

비고

시간(s)당 방사성 물질 붕괴 횟수

Bq(베크렐)/ Ci(큐리)

세기(intensity,방사능)

질량(kg)당 흡수한 방사선 에너지(J)

Gy(그레이)/ rad(라드)

피폭량

방사선이 물질을 전리시킨 정도

R(뢴트겐), C/kg

방사선의 생물학적 손상정도

Sv(시버트), rem()

피폭량

그 다음으로 방사선이 물질을 전리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R(뢴트겐)의 단위가 있습니다. 방사선이 인체에 해로운 것은 우리몸을 구성하는 생화학적 분자들을 전리(이온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므로 인체에 해를 얼마나 미치는지를 알고 싶을 때 베크렐이나 큐리보다는 유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적 관점에서 출발한 방사선 물리량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나타내기에는 불충분합니다. 단순히 인체 조직이 방사선으로부터 흡수한 에너지(그레이, Gy)로는 해로운 정도를 예측하기에 충분치 않기 때문이죠. 사실 방사선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여기에는 알파(α), 베타(β), 감마선(γ) 등이 있습니다. 실험에 의하면 1 그레이의 에너지를 가진 알파선은 같은 1그레이의 감마선보다 약 10~20배 정도 인체에 해롭습니다. 또한 동일 에너지를 기준으로 베타선과 엑스선은 감마레이와 비슷한 수준의 위해도를 가지고 으며 중성자는 감마선보다 약 5배 정도 더 해롭습니다.

<참고 : 방사선의 종류>
α선 : 중성자(2개) + 양성자(2개)로 이루어진 입자 즉 헬륨 2가 이온(=헬륨 핵)에 해당함
β선 : 전자
γ선 : 광자(photon)


실제로 방사선에 인체가 노출될 때에는 일반적으로 알파, 베타, 감마선 중어느 하나만 나오는 것이 아니고 이들이 섞여서 나온다고 본다면, 이들의 상대적 위해도 수치(1배~20배)를 각각의 방사선 종이 나타내는 에너지값(그레이,Gy)에 곱해줘야 합니다. 이렇게 곱해주는 배수를 가중치 요소(W)라고 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값이 실질적으로 인체에 대한 유해정도를 나타내는 생물학적 방사선 단위인 시버트(Sievert)입니다.

1 Sv = 1Gy X [w]

* 방사선 종류에 따른 가중치 요소(weighting factor)

방사선 type과 에너지 범위

w

전자, 양성자, 뮤온, 광자(gamma, X-ray)

1

중성자 <10 keV

5

중성자 10-100 keV

10

중성자 100 keV - 2 MeV

20

중성자 2 MeV - 20 MeV

10

중성자 > 20 MeV

5

양성자

2

알파입자, 핵분열(fission) 조각

20

출처 : 위키피디아 영문판.

시버트는 스웨덴의 생물물리학자 Rolf Sievert에 의해서 고안된 방사선량입니다.

이 수치로 인체에 해를 미치는 정도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짚고 넘어갈 점은 시버트는 피폭된 '방사선 량'이지 '방사선의 세기'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지금 방출되고 있는 방사선의 세기는 2.3 시버트이다"라는 표현은 적절치 않습니다. 대신 "오늘 내가 받은 방사선 피폭량은 2.3 시버트이다"라고 말하면 개념을 잘 이해한 것입니다.
따라서 방사선의 세기를 '시버트'로 나타내고 싶다면 '단위 시간당 피폭량(시버트)'로 나타내야만 적절합니다. 이러한 면에서 언론에서 혼돈을 조장한 부분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후쿠시마 원전30km이내 지점에서 옥대 대피 기준치인 10 mSv(밀리시버트)가 넘는 량이 검출되었습니다"란 말은 정확한 정보가 빠져서 틀린 표현입니다. 10mSv라는 피폭량이 누적된 시간이 하루인지 1년인지 10년인지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죠. 만약이 위의 문장에서 제시한 10mSv가 10년동안의 누적량이라면 연간 1mSv가 누적된 것이므로 아주 안전한 수치가 되어버립니다.


자연으로부터 받는 방사선량은?
자연으로부터 받는 방사선의 양은 연간 2.4 mSv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기에 추가해서 인공적으로 받을 수 있는 피폭량 허용치는 1mSv정도로 모두 다 합해서 약 3.4mSv정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후쿠시마 지역의 방사선 세기.

 

실제로 후쿠시마 원전 30km 이내 지역에서 하루 누적 10mSv의 피폭량이 검출되었다고 4월 4일자 뉴스에 실렸습니다.
이는 연간 방사선 누적량으로 환산하면 3650mSv(10mSv/day X 365day)에 해당하므로
매년 자연적으로 받는 누적 방사선량이 2.3mSv임을 감안하면, 후쿠시마 원전 30km근처의 자연적으로 받는 방사선 세기의 약 1500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연적 피폭량(2.3mSv) + 연간 인공적 피폭 허용 한계치(1.0mSv)"를 포함한 수치의 약 1000배에 해당하는 수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로 엄청난 재해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Posted by Platonian
,

뉴스에서 일본 지진을 말할 때 리히터 규모수정 메르칼리 진도를 섞어 쓰는데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해서 찾아보았습니다. 지진의 규모와 지진의 진도. 혼돈하기 쉬운 이 두 가지 개념을 뉴스에서는 섞어 쓰는 경우가 많은데 찾아보니 둘 사이에는 엄밀한 차이가 있었습니다. 지진의 규모진앙지에서 발생한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이고, 지진의 진도는 피해를 입은 지역의 손상 심각성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가 됩니다. 규모는 대게 리히터 규모를 사용하고 진도는 대표적으로 수정 메르칼리 진도를 사용합니다.

(1) 리히터 규모
지진의 규모(scale)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리히터 규모(Richter magnitude)진앙지에서 발생한 지진의 규모를 나타내므로 특정 지역의 실질적인 피해의 정도와 비례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리히터 규모는 진도계에 기록된 진폭을 가지고 계산식에 넣어서 계산해서 나타나는 수치입니다.



일반적으로 지진의 리히터 규모와 피해 정도는 아래와 같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리히터(Richter) 규모

기술(description)

지진의 피해

발생 빈도수

2.0 이하

micro

느끼지 못함

하루에 약 8,000

2.0-2.9

minor

느끼지 못하지만 기록됨

하루에 약 1,000

3.0-3.9

가끔 느끼지만 거의 영향 없음

1년에 약 4,900

4.0-4.9

light

실내 물건들의 느낄 수 있는 수준의 흔들림, 덜컹거리는 소리

큰 피해는 좀처럼 일어나지 않음

1년에 약 6,200

5.0-5.9

moderate

작은 지역에 한해 약한 건물들은 큰 손상을 받을 수 있음. 잘 대비된 건물들은 경미한 손상을 받음.

1년에 800

6.0-6.9

strong

반경 160km내에서 파괴적일 수 있음

1년에 120

7.0-7.9

major

더 큰 영역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

1년에 18

8.0-8.9

great

수백 km까지 큰 손상을 초래

1년에 1

9.0-9.9

수천 km까지 매우 파괴적 손상을 초래

20년에 1

10.0 이상

massive

한 번도 기록된 적이 없다. 전 지구적인 파괴가 예상됨

알려져 있지 않음(unknown)


위의 테이블(리히터 규모 - 피해규모)이 잘 맞지 않는 이유.

1) 우선 위의 테이블에 나온 지진에 의한 피해는 '얕은 지진'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진앙지가 지표로부터 깊지 않은 곳에 위치한). 똑같은 리히터 규모를 가지더라도 진앙지가 깊은 경우는 피해가 작으며 바다 밑에서 시작한 경우는 큰 리히터 규모를 갖더라도 심지어는 아무런 피해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2) 또한 지진에 의한 실질적 손상은 지역적인 표면의 조건지질학적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있다고 하더라도 불안정한 이나 모래와 같은 지층을 가지고 있는 곳이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곳보더 더 큰 피해를 입는다고 합니다.

(2) 수정 메르칼리 진도 (The Modified Mercalli Intensity Scale)
지진이 지구 표면에 미친 영향을 진도(intensity)라고 합니다. 수정 메르칼리 진도는피해지역의 실제로 관측된 피해를 바탕으로 일어난 지진에 랭킹(ranking, 1~12수준)을 매긴 것입니다. 이 랭킹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1~12수준, 아래 테이블 참조)을 기반으로 합니다. 리히터 규모가 진도계에 나타난 진폭(amplitude)이라는 물리량을 '수치화'한 것임에 반해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나눈 12등급으로 급수를 매기는 것입니다.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은 피해 장소에 나타난 효과들을 관찰한 후에 결정하는 것이므로 지진의 피해정도를 나타내는데 있어서 리히터 규모보다 좀 더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진이 난 후에 지질 조사 단체인 Geological Survey (미국의 경우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USGS)는 피해 지역에 질문서를 보내서 회신 받은 후 이를 바탕으로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을 결정하게 됩니다. 피해를 받은 다른 지역에 보낸 질문들과 다른 소스에서 온 정보들 역시 메르칼리 진도 계급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주게 됩니다.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메르칼리 진도

피해 묘사

1

특별한 경우의 매우 소수의 사람들 외에는 잘 느끼지 못한다.

2

빌딩건물의 상층에 있는 정지해 있는 소수의 사람들만 느낄 수 있다. 천장에 매달려 있는 사물은 흔들릴 수 있다.

3

실내에 있는 사람들이 꽤 느낄 수 있는 수준, 특히 빌딩의 상층에 있는 사람들이 잘 느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를 지진으로 인식하지 못한다. 서있는 차들은 약간 흔들릴 수 있다. 트럭이 지나갈 때 느끼는 진동과 비슷한 수준.

4

실내에 있는 많은 사람들이 느낄 수 있고, 주간에는 실외에 있는 사람들은 거의 느끼지 못한다. 밤에는 일부는 깨어날 수 있다. 접시, 창문과 문소리를 느낄 수 있다. 벽은 깨지는 소리를 낸다. 서있는 차들은 눈에 띄게 흔들릴 수 있다.

5

거의 모든 사람들이 느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잠에서 깨어난다. 접시와 창문이 깨진다. 불안정한 물건은 넘어진다.

6

모든 사람이 느끼고 많은 사람들이 놀란다. 무거운 가구가 움직인다. 벽의 회반죽이 떨어지고 약간의 손상을 입는다.

7

잘 설계가 되어 있는 건물의 손상은 무시할 수준이다. 보통의 건물들은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의 손상을 입는다. 엉성한 건물들은 심각한 손상을 입는다. 몇몇 굴뚝은 넘어진다.

8

잘 설계가 되어 있는 건물의 손상은 경미하다. 보통의 견고한 건물들은 부분 붕괴와 같은 심각한 손상을 입는다. 엉성한 건물들은 엄청난 손상을 입는다. 공장의 굴뚝, 기둥, 기념비, 벽 등이 쓰러진다. 무거운 가구가 쓰러진다.

9

방진설계가 잘 된 건물도 상당한 손상을 입는다. 견고한 건물들도 부분 붕괴와 같은 큰 손상을 입는다. 건물의 토대로부터 건물이 벗어날 수 있다.

10

몇몇의 나무로 잘 지어진 구조가 파괴된다. 대부분의 벽돌건물과 철근 구조물들이 파괴되고 철길이 휘어진다.

11

적은 수의 벽돌건물들이 남는다. 다리가 파괴되고 철길은 크게 휜다.

12

모든 것들이 파괴되고 사물들은 공중으로 튀어 오른다. 총체적 파괴.

출처 http://pubs.usgs.gov/gip/earthq4/severitygip.html


수정메르칼리 진도를 보여주는 데모 플래쉬가 있어서 퍼왔습니다.

(출처 : http://elearning.niu.edu/simulations/mercalli.html)


리히터 규모와 수정 메르칼리 진도는 이렇게 기본개념이 철저히 다르지만 최소한의 상관관계는 가지고 있습니다.
진앙지에서의 지진의 규모가 크면(리히터 규모↑), 인접 지역의 피해도 커지겠지요(수정 메르칼리 진도↑)
아래는 그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그림입니다.(출처 : ttp://scioly.org/wiki/GMOA_Notes)

 

<결론>
1)리히터 규모진앙지에서 생겨난 지진의 규모를 파악하는데 쓰일 수 있고, 지진의 피해정도를
직접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지진의 크기 자체를 나타냄)
2) 수정 메르칼리 진도 그 진도가 매겨진 해당 지역의 지진 피해 심각성 정도를 직접
나타낸다.(지진에 의한 피해 영향 정도를 나타냄)

따라서 리히터 규모가 언론에 발표되었을 때, 진앙지에서 발생한 지진의 규모는 파악할 수 있겠지만 인접 지역의 피해는 사실상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진앙지의 깊이나 피해지역의 지질 기반에 따라서 피해의 심각성정도는 천차만별이니까요. 피해의 심각성 정도는 나중에 수정 메르칼리 진도가 발표되고 나면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Posted by Platonian
,
지진에 대한 소식이 나올 때마다 지진의 강도를 나타내기 위해서 각종 매스컴에서 리히터 규모를 사용하는 것을 많이 보셨을 겁니다. 리히터 규모(ML)는 산술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고 합니다.

M_mathrm{L} = log_{10} A - log_{10} A_mathrm{0}(delta),

 


여기서 우변의 A지진계(Seismograph)로 기록된 진폭(Amplitude)를 나타냅니다. A0는 진앙지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값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영문판)

복잡해 보이지만 조금만 뜯어보면 식을 이해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로그함수이므로 리히터 규모가 1.0 증가할 때마다 지진의 진폭(강도)는 10이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도 2의 지진은 강도 1의 지진보다 2배가 아닌 10배의 진폭(강도)를 가진 지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강도 3의 지진은 강도 1의 지진보다 3배가 아닌 100배의 강도를 가진 지진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죠. 최소한 지진계에 기록되는 강도 측면에서는 그렇단 말이죠.
즉 지진의 강도는 리히터 규모 값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이죠. 예를들면...


사진출처 : http://www.buzzle.com/articles/richter-scale.html
리히터 규모 vs 지진의 강도
6.0의 지진은 5.0의 지진보다 10배 강함.
7.0의 지진은 5.0의 지진보다 100배 강함.
8.0의 지진은 5.0의 지진보다 1000배 강함.


그렇다면 지진의 리히터 규모와 피해 정도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리히터(Richter) 규모

기술(description)

지진의 피해

발생 빈도수

2.0 이하

micro

느끼지 못함

하루에 약 8,000

2.0-2.9

minor

느끼지 못하지만 기록됨

하루에 약 1,000

3.0-3.9

가끔 느끼지만 거의 영향 없음

1년에 약 4,900

4.0-4.9

light

실내 물건들의 느낄 수 있는 수준의 흔들림, 덜컹거리는 소리

큰 피해는 좀처럼 일어나지 않음

1년에 약 6,200

5.0-5.9

moderate

작은 지역에 한해 약한 건물들은 큰 손상을 받을 수 있음. 잘 대비된 건물들은 경미한 손상을 받음.

1년에 800

6.0-6.9

strong

반경 160km내에서 파괴적일 수 있음

1년에 120

7.0-7.9

major

더 큰 영역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

1년에 18

8.0-8.9

great

수백 km까지 큰 손상을 초래

1년에 1

9.0-9.9

수천 km까지 매우 파괴적 손상을 초래

20년에 1

10.0 이상

massive

한 번도 기록된 적이 없다. 전 지구적인 파괴가 예상됨

알려져 있지 않음(unknown)

내용출처 : http://www.buzzle.com/articles/richter-scale.html
위의 자료에 따르면 얼마전 일어난 일본 대지진(리히터 규모 9.0)이 얼마나 대단한 사건인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리히터 규모와 지진의 피해정도가 항상 비례관계에 있는 것은 아닙니다.
우선 위의 테이블에 나온 지진에 의한 피해는 '얕은 지진'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진앙지가 지표로부터 깊지 않은 곳에 위치한). 따라서 리히터 스케일이 큰 지진이라고 해서 반드시 큰 재앙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또한 지진에 의한 실질적 손상은 지역적인 표면의 조건지질학적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있다고 하더라도 불안정한 이나 모래와 같은 지층을 가지고 있는 곳이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곳보더 더 큰 피해를 입는다고 합니다.

결론은..
(1 )리히터 규모1이 증가 할 때마다 지진의 강도(진폭)10배 커진다는 것!
(2) 그리고 지진의 피해는 리히터 규모에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 지진의 심도나 피해지역의
지질학적 상태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것. 따라서 리히터 규모는 참고사항일순 있어도
지진 피해의 평가 잣대일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일본 대지진에 의해 발생한 쓰나미의 파고를 시각화한 맵. 일본 대지진의 강도를 짐작케
합니다. 보라색 부위의 쓰나미 파고가 가장 높고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으로 갈 수록 쓰나
미의 파고가 낮아지는 것을 나타냅니다. 일본 열도가 방파제(?) 역할을 해서 바로 인접한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전혀 영향이 미치지 않았네요

 

Posted by Platoni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