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위키피디아 영문판)
복잡해 보이지만 조금만 뜯어보면 식을 이해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로그함수이므로 리히터 규모가 1.0 증가할 때마다 지진의 진폭(강도)는 10이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도 2의 지진은 강도 1의 지진보다 2배가 아닌 10배의 진폭(강도)를 가진 지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강도 3의 지진은 강도 1의 지진보다 3배가 아닌 100배의 강도를 가진 지진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죠. 최소한 지진계에 기록되는 강도 측면에서는 그렇단 말이죠.
즉 지진의 강도는 리히터 규모 값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이죠. 예를들면...
사진출처 : http://www.buzzle.com/articles/richter-scale.html
6.0의 지진은 5.0의 지진보다 10배 강함.
7.0의 지진은 5.0의 지진보다 100배 강함.
8.0의 지진은 5.0의 지진보다 1000배 강함.
그렇다면 지진의 리히터 규모와 피해 정도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리히터(Richter) 규모 |
기술(description) |
지진의 피해 |
발생 빈도수 |
2.0 이하 |
micro |
느끼지 못함 |
하루에 약 8,000회 |
2.0-2.9 |
minor |
느끼지 못하지만 기록됨 |
하루에 약 1,000회 |
3.0-3.9 |
가끔 느끼지만 거의 영향 없음 |
1년에 약 4,900회 | |
4.0-4.9 |
light |
실내 물건들의 느낄 수 있는 수준의 흔들림, 덜컹거리는 소리 큰 피해는 좀처럼 일어나지 않음 |
1년에 약 6,200회 |
5.0-5.9 |
moderate |
작은 지역에 한해 약한 건물들은 큰 손상을 받을 수 있음. 잘 대비된 건물들은 경미한 손상을 받음. |
1년에 800회 |
6.0-6.9 |
strong |
반경 160km내에서 파괴적일 수 있음 |
1년에 120회 |
7.0-7.9 |
major |
더 큰 영역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 |
1년에 18회 |
8.0-8.9 |
great |
수백 km까지 큰 손상을 초래 |
1년에 1회 |
9.0-9.9 |
수천 km까지 매우 파괴적 손상을 초래 |
20년에 1회 | |
10.0 이상 |
massive |
한 번도 기록된 적이 없다. 전 지구적인 파괴가 예상됨 |
알려져 있지 않음(unknown) |
내용출처 : http://www.buzzle.com/articles/richter-scale.html
위의 자료에 따르면 얼마전 일어난 일본 대지진(리히터 규모 9.0)이 얼마나 대단한 사건인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리히터 규모와 지진의 피해정도가 항상 비례관계에 있는 것은 아닙니다.
우선 위의 테이블에 나온 지진에 의한 피해는 '얕은 지진'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진앙지가 지표로부터 깊지 않은 곳에 위치한). 따라서 리히터 스케일이 큰 지진이라고 해서 반드시 큰 재앙을 초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1 )리히터 규모가 1이 증가 할 때마다 지진의 강도(진폭)는 10배 커진다는 것!
(2) 그리고 지진의 피해는 리히터 규모에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 지진의 심도나 피해지역의
지질학적 상태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것. 따라서 리히터 규모는 참고사항일순 있어도
지진 피해의 평가 잣대일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일본 대지진에 의해 발생한 쓰나미의 파고를 시각화한 맵. 일본 대지진의 강도를 짐작케
합니다. 보라색 부위의 쓰나미 파고가 가장 높고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으로 갈 수록 쓰나
미의 파고가 낮아지는 것을 나타냅니다. 일본 열도가 방파제(?) 역할을 해서 바로 인접한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전혀 영향이 미치지 않았네요
'그것이 알고싶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사능]방사선의 인체에 미치는 해로움을 표현하는 단위 : 시버트(Sievert) (3) | 2012.06.05 |
---|---|
[지진 규모와 진도의 차이] 리히터 규모 vs 수정 메르칼리 진도 (9) | 2012.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