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 반복 된다"라는 명제 또는 주장은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불변의 진리처럼 받아들이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초등교육에서 고등교육에 이르기까지 국사, 세계사 등에서 묘사되고 있는 세상은,  우리의 머리 속에 각인되어 있는 '역사는 반복 된다'라는 명제를 강화시켜준다.  


과거에도 있었던 인간 개인 혹은 인간 집단 사이의 크고 작은 갈등과 권력욕과 탐욕의 향연, 그리고 그것이 누적되어 터지는 피비린내 물씬나는 전쟁은 근현대사에 이르기 까지 반복이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역사는 반복 된다"류의 명제는 아마도 변하지 않는 탐욕과 같은 인간본성에 대한 믿음에서 시작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덴마크가 오스트리아에와 프러시아에 대항해 싸운 슐레슈비히 전쟁(1864년)을 묘사한 Vilhelm Jacob Rosenstand의 그림.


어쨌든 [호모데우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는 인류사에서 전쟁은 사라져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 근거는 꽤 설득력이 있고 그의 통찰력에 다시 놀라게 된다.


그 근거의 핵심은 '세계 경제가 물질기반 경제에서 지식기반 경제로 탈바꿈 한 것'이라는 사실이다. 과거 부의 핵심은 금광, 밀밭, 유전 같은 물질적 자산이었는데 반해, 현재 부의 원천은 '지식'이다. 따라서 유발 하라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유전과 밀밭은 전쟁으로 정복할 수 있지만, 지식은 그런 식으로 얻을 수 없다. 지식이 가장 중요한 경제적 자원이 되면서 전쟁의 채산성이 떨어졌고, 전쟁은 아직도 시대에 뒤떨어진 물질기반 경제를 운영하는 지역, 예컨대 중동이나 중앙아프리카에서만 일어나게 되었다."


 또다른 예시로 중국이 미국의 실리콘 밸리를 침입했을 경우를 가정한다. 실리콘 밸리는 지식기반 산업의 메카이므로, 중국이 이 전투에서 승리한다고 해도 얻을 것은 없다고 말한다.


물론 크고 작은 전쟁과 테러가 아직 지구촌 뉴스에서 톱기사로 다뤄지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지만,  중세전쟁사로 학위를 받은 유발 하라리가 내세우는 구체적인 데이터 앞에서는 고개를 끄떡일 수밖에 없다. 인류사 전체를 내려다보는 스케일에서 보았을 때 확실하게 전쟁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유발 하라리가 인용한 논문에 의하면 고대 농경사회에서는 사망 원인의 약 15퍼센트가 인간의 폭력이었던 반면, 20세기에는 그 비율이 5퍼센트에 불과했고, 21세기 초에는 약 1퍼센트로 줄었다고 한다.

출처 : www.huffingtonpost.com/daniel-wagner/soft-targets-and-tourist-_b_10728626.html


유발 하라리의 책 시리즈들의 특징은 이렇게 큰 시간 스케일(인류가 영장류로부터 인간으로 첫발을 내디딘 시점부터 지금까지)에서 인류 역사 전체를 관조함으로써,  몇 백년 단위의 역사적 고찰에서는 절대로 얻을 수 없는 굉장한 통찰력 있는 결론을 내린다는 점이다.

인류역사에서 봤을 때 인간의 어떤 부분이 본질적인 것인가?(불변하는 것인가?), 어떤 행태는 본질적이지 않은가?를 알고 싶다면 100년 역사의 고찰보다는 1000년 역사의 고찰이, 1000년 역사의 고찰보다는 10만년 역사를 들여다보는 것이 더 본질적인 인간의 그 무엇을 더 잘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Posted by Platonian
,